BLOG | HOME
ARTISTS
벽암 김정남
숭례문(崇禮門) 150×200㎝ 2017
STATEMENT

벽암의 서예이야기

1. 오늘 서예에 대한 묵상

서예는 필기도구가 별도로 없던 시대에 붓으로 표현된 문자로, 주로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서예의 정신적·예술적 가치 보다 효용적 가치에 그 의미가 컸다. 갑골문(甲骨文), 금문(金文)을 거쳐 전서·예서·해서·행서·초서의 서체가 이러한 과정에서 생겨났다. 그러나 활자를 이용한 인쇄술과 컴퓨터·디자인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으로써의 서예의 효용가치는 거의 사라져 가고 있다. 그럼 서예는 이제 그 존재 의의가 희박해졌다는 것인가? 서양의 회화는 주로 인물화와 사실화를 주로 하던 시대에 사진이 발명되면서 그 가치가 사라지지 않고 오히려 인상파와 같은 새로운 사조가 등장하여 회화의 예술적 가치를 더하였다. 서예도 효용적 가치보다 획 속에 잠재해 있는 정신적·예술적 가치를 더욱 조명해야 할 때라고 본다. 아울러 지금 4차 산업혁명의 물결 속에서 인간은 얼마 되지 않아 인공지능의 부속물로 전락될지도 모른다. 이러한 때일수록 정신적·예술적 가치에 대한 갈망은 더해갈 것이다.
즉 서예는 시대의 흐름 속에 동양의 다양한 철학적 사유가 가미되면서 정신적 가치뿐만 아니라 미학적 가치 등 많은 의미가 부여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한대(漢代) 양웅은 서예를 ‘심화(心畵)’라 하였으며, 청대(淸代) 유희재는 ‘서예가 자연을 근본으로 하여 자연을 본받는 경지에 멈추지 않고 결국 사람을 중심으로 다시 하늘을 회복하는 경지로 나아가야 한다(由人復天, 造乎自然)’고 하였다. 석도(石濤)도 일획론(一劃論)을 말하며 서예의 한 획 속에 모든 존재의 뿌리와 근본이 담겨있다고 했다. 이와 같이 서예는 본래적으로 정신적·예술적 가치 및 인간애가 함축된 동양예술의 정수이다. 그런데 요즘에 서예는 젊은 세대로부터도 외면되고 있다. 이는 일부 교육시스템의 잘못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빗어진 결과다. 이웃 중국과 일본은 서예가 국민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는 예술장르중의 하나다. 중국은 국가적으로도 그 가치를 인정하여 서예를 국내적으로뿐만 아니라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등재하여 관리하고 있을 정도다. 같은 동양문화권 속에서 우리만이 서예에 대하여 과소평가되고 있다. 타 장르의 작가들조차도 서예의 가치를 인정하여 이를 적극 수용하고 있으며, 서양에서는 동양예술에 대하여 신비감을 갖고 그중 서예 線의 생명성과 그 묘한 매력에 빠져들어 어설프지만 다양한 실험적인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서예인들 자신도 타 장르와 융·복합된 다양한 시도를 시작하고 있다. 이 위기적 상황이 오히려 서예인에게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실질적으로 서예는 점·선·면의 예술이다. 삼라만상이 점·선·면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없다. 모든 예술의 형태도 점·선·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예는 원초적으로 어느 장르의 예술과도 접목할 수 있는 가능성의 씨를 갖고 있어 주체적으로 모든 장르와 친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대로 서예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동양예술의 정수로서 그 획 속에는 태극과 음양오행의 우주의 원리가 함축되어 있다. 서예가는 붓이라는 도구를 통하여 작가의 성정과 예술성을 서예 선에 실어서 작품으로 형상화 한다. 즉 서예는 눈으로 보면 시각예술이지만 획 속에는 우주가 담겨있고 작가의 마음이 담겨있는 심오한 예술이다. 그래서 서예는 기타 여느 장르 예술보다 훨씬 포괄적이고 심오한 뜻이 담겨진 함축된 예술로, 기타 장르의 예술과 융합될 때에는 더욱 고상한 미감을 발하기도 한다. 만약 동양화, 서양화 등 모든 회화와 디자인 등의 모든 장르에 살아있는 서예의 선이 접목될 경우, 그 작품에 생동감과 더불어 고상하면서도 다양한 미감이 창출될 것이다. 이는 예술세계에서 새로운 혁명에 가까운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이 서예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예술이다. 서예는 모든 것을 다 담을 수 그릇이다. 그래서 나는 계속 기타 장르와의 접점을 찾고자 다양한 서예여행을 할 것이다. 그만큼 서예가 모든 예술의 중심에 설 수 있다는 자신감과 자부심이 있기 때문이다. 서예가 귀중한 우리의 문화유산으로서 제대로 평가 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 속에서, 나는 서예에 대하여 실기뿐만 아니라 학문적으로도 하나하나 그 성과를 이루어 가며 서예 전도사로서의 길을 가고자 한다.


2. 서예와 캘리(Calli)의 관계에 대하여

요즘 서예와 별도로 서예계에 캘리라는 장르가 급부상하여, 사람들은 서예와 캘리의 명확한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고 혼재하여 사용하고 있다. 오히려 서예가 종이 되고 캘리가 주가 되는 느낌을 받을 정도로 서예보다 캘리가 사람들에게 더 많이 회자되고 있다. 그래서 이와 관련하여 간단하게나마 나의 생각을 언급하고자 한다.
캘리(Calli)는 캘리그라피(Calligraphy)의 약자이다. 영어 Calligraphy는 원래 아름다운 서체란 뜻을 지닌 그리스어 Kalligraphia에서 유래된 전문적인 핸드레터링 기술을 뜻한다. 이중에서 캘리그라피(Calligraphy)의 Calli는 미(美)를 뜻하며, Graphy는 화풍, 서풍, 서법, 기록법의 의미를 갖고 있다. 우리는 이 캘리그래피를 일반적으로 서예로 번역하여 사용해 왔다. 그런데 요즘 한국에서 ‘캘리’라는 용어를 사용한 서체가 유행하고 있는데 이는 엄격히 말해 서예와는 다르고 또한 서예에서 파생된 용어도 아니다. 이쁜 글씨, 감성이 있는 글씨, 맛있는 글씨를 갈망하는 젊은 세대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도구(볼팬, 잉크, 붓팬, 연필, 붓 등)를 사용하여 표현된 개성적 글씨체이다. 이는 일종의 시대적 유행사조에 따라 자연스럽게 배태된 것이다. 그 저변에는 디자인적 개념과 감성적인 미감이 깔려있다. 그런데 여기에 주로 사용된 도구가 붓으로 발전되어 가면서 서예에 자연스럽게 접목되었다. 이후 캘리가 상업적 수단으로 가치가 인정되면서 대중들에게 주목을 받게 되었다. 서예계에서도 침체되어가는 서예를 어떻게 해서라도 부흥시키고자 하는 열망 속에서 캘리에 대하여 무비판적으로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일부 공모전에서는 현대서예란 장르로 채택하기도 하였다. 일부 전통서예가는 서예정체성 위기론을 제기하면서 캘리에 대한 부정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으며, 캘리를 공모전에 선택한 단체에서도 심사에서 전통서예와의 관계에서 명확한 심사기준을 제시하지 못하는 등 아직도 캘리에 대하여 해결해야할 난제가 산재해 있다.
이 시점에서 나는 서예와 캘리에 대하여 내 나름대로 정리해 본다. 나에게 서예공부의 화두는 시종일관 법고창신(法古創新)이다. 전통에 대한 기본공부를 철저히 한 이후에 진정한 창신(創新)이 가능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리고 서예는 자연을 모본으로 한 생명체로 생명력이 근본이다. 넓은 의미에서 캘리도 붓이라는 도구를 사용한다는 점(잉크팬, 만년필, 볼팬 등을 사용하는 캘리의 경우는 제외)에서는 서예의 한 가지(枝)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캘리는 디자인과 감성을 중시하고 서법(書法)에 대해서는 그리 관심이 없다. 반면 서예는 동양사상과 미학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함축되어 있고 자연의 이법이 적용되는 엄격한 서법(書法)이 있다. 이러한 면에서 서예와 캘리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캘리는 서법이 없이 표면적인 조형적 디자인에 더욱 관심을 두어 표현하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기대만킁의 만족할 만한 미감을 발휘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진정한 미감은 서법이 있는 가운에서 더 고품격으로 발현하게 되어있다.
서예에서 서법이란 그냥 기능적 것이 아니다. 서예는 그 사람의 마음을 담아내는 심화(心畫)이다. 진정한 서예는 요즘 세대가 맘속에 갈망하고 있는 감성적, 디자인적 개념까지 담아낼 수 있는 차원 높은 정신활동이다. 그래서 나는 평소에도 현실세계에 더 가까이 가기 위해서 전통 서법에 더 천착하여 공부하고 있다. 철저한 법고 없는 진정한 창신은 없다는 것이 나의 확고한 생각이기 때문이다. 캘리도 서예의 이런 정신에 바탕하고 있을 때 서예의 장르 속에서 얘기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을 때 캘리는 서예가 아니라 하나의 디자인일 뿐이다. 추사(秋史)의 글씨는 여느 작가보다 조형성이 뛰어 나고 각 글자 속에는 추사의 감성이 듬뿍 담겨져 있어 오늘날 관점에서 보면 캘리라고 볼 수 있다. 그렇지만 그의 글씨는 서예이고 그것도 한국의 대표적 서체이다. 이와 같이 서예는 디자인개념뿐만 아니라 모든 장르를 아우르는 큰 그릇의 예술이면서 道이다.
그러한 면에서 캘리의 발전은 넓은 의미에서는 서예발전과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오히려 캘리가 서예발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캘리를 하다가 더 깊은 공부를 위해 진정한 서예공부에 관심을 가질 수도 있다고 본다. 아울러 서예인들에게는 캘리가 그동안 갇혀 있던 전통서예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는 촉매재가 될 수 있다. 다만 붓으로 먹물을 찍어서 쓴다는 것만으로 캘리를 서예장르에 포함시킨다는 것은 심오한 서예의 예술성과 정신적 가치를 희석시켜 서예를 천박한 세속 예술로 전락시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개연성에 대하여 경계의 자세를 놓치면 안 될 것이다.
캘리와 관련한 또 하나 숙제는 ‘서예’개념에 대한 영어 표현의 문제이다. 우리가 지금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서예’라는 용어는 영어로 ‘캘리그래피(Calligraphy)’라고 번역하였는데 이는 서양에서는 손글씨를 의미한다. 그런데 요즘 대중들에게 유행하고 있는 감성적인 손글씨에 대하여 ‘캘리’라고 명명하여 쓰고 있다. 이 캘리라는 용어는 ‘캘리그래피’의 약칭으로 결국 전통서예의 영어표현인 캘리그래피와 표현이 같아, 서예와 관련한 영어표현에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통서예와 요즘 유행서풍인 캘리에 대한 영어표현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런데 서양에는 동양의 전통서예라는 개념을 담아낼 정확한 용어가 없다. 그동안은 마땅한 영어식 표현이 없어서 그냥 캘리그래피로 번역하였는데 이는 적확한 표현이 아니다. 서양의 캘리그리피의 실질적인 의미는 전통서예의 의미보다 요즘 유행서풍의 명칭인 캘리라는 의미와 합치되는 면이 오히려 많다고 생각된다. 이에 따라 전통서예에 대한 명확한 영어표현을 찾아야 할 것인데, 서양에 이에 합치되는 용어가 없음을 감안하여 동양의 명칭(한국은 ‘서예’, 중국은 ‘서법’, 일본은 ‘서도’)을 고유명사로 하여 발음 그 자체를 영어로 표기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 생각한다. 학계에서도 이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논의를 조속히 하여 용어사용에 있어서 혼란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동안 한국의 서예계는 시대적 변화의 흐름 속에서 편협한 전통과 서예가의 아집에 고착되어 사회적 요구에 제대로 반응하지 못하고 화석화됨으로 인해, 거꾸로 세상으로부터 외면받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서예 같기도 하고 서예 아닌 것 같기도 한 캘리가 출현하게 되었다. 서예계도 이 냉엄한 현실을 받아들이고 이에 대한 반성과 더불어 서예와 캘리와의 학술적·예술적 관계정립에 대하여 긍정적인 관점에서 많은 고민이 있어야 할 것이다. 지금은 4차산업혁명에 직면하여 급격한 패러다임의 전환시대이다. 모든 것이 융·복합되어 가는 격변의 시대에 어떻게 서예의 본질을 지키면서 변화를 수용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고민과 함께 세상을 향해 열린 사고의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본다.

벽암 김정남
BIOGRAPHY

Main career
문화재청 창경궁소장, 덕수궁소장, 조선왕릉소장
현재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 기획운영과장
국전(대한민국서예전람회) 등 초대작가, 심사위원
한국서예문화학회·한국비평학회, 연묵회, 성유동행 회원 등

Education
2016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유학과 박사(동양미학) 졸업
2009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서예과 석사(동양미학) 졸업

Solo Exhibitions
2017   서초동 갤러리라이프 (10.31.~11.12.)
2017   인사동 가나인사아트센터 (주제 ‘발칙한 꿈을 꾸다’, 3.22~27)
2016   주이태리한국문화원(로마) 개원기념 서예벽화전(주제 ‘마루에 오르다’, 10.26-)

Group Exhibitions
2017   세계서예비엔날레 초대전(전주)
2017   “2017 한글문화큰잔치 『완판본 열녀춘향가 100인 서예전』”
2017    대한제국 선포 120주년 기념 특별전(“대한제국 황실의 뿌리”) (4.21~8.27, 어진박물관)
2017   월간 미술세계 창간 33주년 특집 한국 서예대표작가 특별 초대전“2017, 한국서예 큰 울림전”(2.22-19 갤러리 미술세계)
2016   현충일기념전(전주 시립미술관)
2015   세계서예비엔날레 초대전(전주)
2014   아름다운 한글 어제와 오늘 전(세종한글사랑 주최)
2008∼    현재. 대한민국서예전람회 초대작가전, 성유동행전, 연묵회전 등 다수

Awards
2012   한국추사서예대전 綜合大賞
2011    國展(대한민국 서예전람회) 大賞
2009   대한민국 해동서예문인화대전 大賞
2008   道展(충남·대전 서예전람회) 大賞
2008   대한민국 고불서예대전 우수상

작품소장처
㈜한국 신용 정보 회사
경기전 어진박물관(불휘기픈 남간....)
전주역사박물관(꽃심)
이태리 문화부장관 기증 작품(불휘기픈 남간....)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신안해저선발굴 40주년 기념 작품(접시명문을 작품화)
세계유산 종묘 CI 제작
(재)한국문화재재단 현판 書
세계유산 정릉 재실 상량문 書
미국 오바마 대통령 방한 선물(서예작품)-백악관
숭례문복원사업 상량문 書
세계유산 경주 양동마을 문화관 현판 書
문화재청 정책비젼 표어 (“어제를 담아 내일에 전하다”) 書
헝가리문화원 8폭 병풍 書(훈민정음 서문)

EXHIBITIONS

GO TO LIST